☆☆ 사반 ☆☆
바위 히락스, 바위너구리 (Rock Hyrax)
사판, 사반 (Coney)
갈멜산 엘리야 기념교회 옥상 전망대에서 우연히 사반을 발견하는 행운이 있었다.
잠언에 의하면 사반은 약하지만 지혜로운 동물의 상징으로
가나안 땅 바위틈에 사는 “바위 너구리”라고 불리는 토끼 크기의 동물을 말하는데
겁이 많고 예민하여 눈에 잘 띠지 않는다고 한다.
털이 연한 밤색이며 연한 흰 무늬가 보인다.
꼬리는 보이지 않는다
☆☆ 사반 ☆☆
바위 히락스" 바위너구리 (Rock Hyrax)
사판, 사반 (Coney)
히브리어로 사판, 영어로는 Rock Hyrax 바위너구리목, 바위너구리과 크기 40~50cm이며 무게는 1.5~5 kg정도이다. 수명은 약 7~12년이다. 아프리카, 아라비아, 시리아 지방등 주로 사막 지역에 서식한다. 털이 짧고 연한 밤색이며 흰 무늬가 보이기도 한다. 바위가 많은 곳의 바위틈에 서식하고 동그란 귀를 가지고 있으며 꼬리는 보이지 않는다. 40~50마리가 무리지어 살고 보초가 있어 주위를 감시한다. 많이 줄어들기는 했지만 갈릴리 지방에서는 볼 수 있다고 한다.
개역개정 성경은 히브리어 발음 “사판”에 따라 “사반”으로 번역하고 있으나
레위기 11장 5 사반도 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고
신명기 14장 7 이것이니 곧 낙타와 토끼와 사반, 그것들은 새김질은 하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니 너희에게 부정하고
일부성경에서는 “바위 오소리”(Rock Badger)로 번역하기도 하고, 또는 한글로는 “너구리”, 영어로는 “토끼”(coney), “산토끼”(Haer)로 번역되기도 하였고 모두 되새김질을 한다고 되어 있다. 성경에 나오는 특징이 "사반도 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므로" 이므로 이 '사반'은 토끼로 알려진 시리아의 "바위 히락스"(rock hyrax)로 학자들은 보는데 포유류의 일종으로 산토끼만한 크기로 발굽이 있고 겁이 많은 동물로 아프리카, 아라비아, 시리아 지방에 서식하고 있다. 바위 히락스는 턱을 계속하여 움직이며 많은 시간을 되새김질을 하는 것 같이 보이고, 내장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보여 되새김하는 다른 동물과 비슷하게 보이나 Hyrax는 풀은 먹지만 되새김을 하지 않는 동물이라고 한다.
되새김질하는 반추동물로는 소, 영양, 양, 염소, 사슴 류, 기린, 낙타, 라마 등이 있다. 이들은 위(胃)가 3∼5개의 방으로 이뤄져 있다. 그러나 사반이나 토끼는 여러 개의 위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이들은 되새김질하는 동물이 아니다.
발은 굽이 갈라지지 않았으며, 넓은 발톱이 독특하여 바위 위를 뛰어다니기에 이상적인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한다. 사반의 몸 크기는 토끼만하지만 해부학적 구조는 토끼와 전혀 다르고, 오히려 코가 물소나 코끼리의 코와 닮아서 코끼리와 거의 비슷한 종류에 속한다고 한다.
사반과 토끼가 음식물을 먹고 있지 않는 동안에도 반추동물과 비슷한 모습으로 계속하여 입을 오물거리며 되새김질하는 것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토끼는 가끔 자신이 누운 똥을 다시 먹는 것이 관찰되고 있는데 토끼는 이때 새로운 식물을 입으로 먹지 않고도 먹는 것 같이 보이거나, 입을 오물거리며 되새김질하는 것 같이 보인다. 한번 먹은 음식물은 창자를 통과하면서 뱃속에서 소화되고 또 서식하는 세균에 의하여 처리되는데 미처 소화되지 않은 많은 양분이 세균과 범벅이 되어 그대로 똥으로 배출되어 분해되는데 이때 다시 먹은 똥은 두 번째 뱃속을 통과할 때는 훨씬 더 소화가 잘 되고 더 많은 양분을 흡수 할 수 있다고 하는 연구도 있으며 우리 속담에 개똥도 약으로 쓴다는 말도 이에 근거하는데, 토끼도 어찌 그 이치를 알고 똥을 먹는지 지혜로운 동물이 틀림없다.
☆ 잠언 30장 : 지혜로운 동물 네종류는 다음과 같다 ☆
24.땅에 작고도 가장 지혜로운 것 넷이 있나니 25.곧 힘이 없는 종류로되 먹을 것을 여름에 준비하는 개미와
26.약한 종류로되 집을 바위 사이에 짓는 사반과 27.임금이 없으되 다 떼를 지어 나아가는 메뚜기와 28.손에 잡힐 만하여도 왕궁에 있는 도마뱀이니라